Hoons.Net 썸네일형 리스트형 캠퍼스 시삽 과제 2-1) 배열과 컬렉션의 차이 배열 프로그래밍에서 우리는 값을 저장하기 위해 변수를 선언한다.그리고 이 변수의 데이터타입 별로 저장할 수 있는 변수의 종류가 다르다.그리고 우리는 사용하면서 동일한 타입의 변수를 두개 이상 연결해서사용 할 경우가 생긴다. 이럴 때 쉽게 사용할 수 있는것이 배열이다.보통 처음 배열을 배우는 사람에게 간단하게 기차라고 설명을 한다.같은 모양의 열차가 필요한만큼 연결되어 줄줄이 연결되어있는 모양이다.배열도 같다고 생각한다.내가 사용하고 싶은 타입의 변수를 단순히 여러개 생성하면메모리상에 여기저기 흩어져있게 되고, 사용할 떄도 불편하다.하지만 배열은 메모리상에 연속으로 자리를 잡게 되고개발자가 사용할 떄도 훨신 편하다. 이런식으로 []안에 호출하고 싶은 배열의 순서를 넣어주만 해당 부분의 값을 사용 할 수 있.. 더보기 캠퍼스 시삽 과제 1-1) 캡슐화와 은닉화 캡슐화 - 실제로 구현되는 부분을 외부에 드러나지 않도록 캡슐로 감싸 이용방법만을 알려주는것- 은닉화또한 캡슐화의 한부분이다 캡슐화를 사용하면 블랙박스기능을 구현할수 있다.해당코드를 다른사람이 그것의 작동 방법을 알 필요가 없게 한다는 뜻이다.개발자는 해당 함수에 알맞는 파라미터만 넣으면원하는 결과만 리턴 받으면 되는 것이지 굳이 해당 함수의 알고리즘까지는 알 필요가 없기 떄문이다. 이처럼 실제로 구현되는 부분을 외부에 드러나지 않도록 캡슐로 감싸 이용방법만을 알려주는것이 캡슐화의 중요 컨셉이다.그리고, 이 캡슐화(encapsulration) 과정에서 데이터들과, 여러 로직들이 은닉이 된다. 말그래도 캡슐(encapsulration)로 감싸 숨기(은닉화 , hiding)는 것이다. *은닉화 1.은닉이란 .. 더보기 캠퍼스 시삽 과제 1-1) 다향성 다형성 다향성은 상하로 관련되는 객체들을 동일한 방식으로 다루는 개념이다. - 부모type의 변수에 자식 type의 객체를 대입- 상속관계에서 부모가 자식보다 큰 범위이기 때문에 자식을 부모타입으로 지정하여 생성이 가능- 부모Class에 선언 돈 메서드에만 접근가능- 자식Class에만 선언된 메서드에 접근 하려면 typecasting을 해주어야 함 다형성의 용도- 하나의 매서드로 부모가 같은 여러 class 객체들이수행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 캡슐화와 은닉은 '무엇을'과 '어떻게'를 분리시켜 준다. 상속은 '어떻게'를 다양하게 정의하게 해준다.다형성은 이 둘을 조합하여 런타임에 '무엇을', 어떻게' 실행시킬 것인지를 동적으로 정하게 된다.확장에는 열려있고, 수정에는 닫혀있다. OCP ( Open Close.. 더보기 캠퍼스 시삽 과제 1-1) 상속 상속 - 기존의 클래스를 재사용해서 새로운 클래스를 작성하는 것- 두 클래스를 부모와 자식으로 관계를 맺어주는 것- 자손은 조상의 모든 멤버를 상속받는다.(생성자, 초기화블럭 제외)- 자손의 멤버개수는 조상보다 적을 수 없다.(같거나 많다.) * 부모 클래스와 자식 클래스부모클래스와 자식클래스는 슈퍼클래스와 서브클래스 등 언어마다 부르는 말이 다르지만 결국 상하의 관계를 나타내는 말 들이다.부모클래스는 상속을 주는 클래스로서 상속을 받는 클래스에게 영향을 주게 된다.결국 부모클래스는 공통적인 부분을 관리하게 된다.반면 부모클래스의 상속을 받는 자식 클래스는 부모클래스의 변경에 영향을 받는 을의 위치다.그래서 부모클래스의 변화에 따라 내용이 달라지기도 하지만반대로 자식클래스는 부모클래스에게 영향을 미칠 수..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