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캠퍼스 시삽 과제 2-2) 로또 추출기 6개의 랜덤한 중복되지 않는 수를 뽑아내는 로또 추출기 더보기
캠퍼스 시삽 과제 2-1) 배열과 컬렉션의 차이 배열 프로그래밍에서 우리는 값을 저장하기 위해 변수를 선언한다.그리고 이 변수의 데이터타입 별로 저장할 수 있는 변수의 종류가 다르다.그리고 우리는 사용하면서 동일한 타입의 변수를 두개 이상 연결해서사용 할 경우가 생긴다. 이럴 때 쉽게 사용할 수 있는것이 배열이다.보통 처음 배열을 배우는 사람에게 간단하게 기차라고 설명을 한다.같은 모양의 열차가 필요한만큼 연결되어 줄줄이 연결되어있는 모양이다.배열도 같다고 생각한다.내가 사용하고 싶은 타입의 변수를 단순히 여러개 생성하면메모리상에 여기저기 흩어져있게 되고, 사용할 떄도 불편하다.하지만 배열은 메모리상에 연속으로 자리를 잡게 되고개발자가 사용할 떄도 훨신 편하다. 이런식으로 []안에 호출하고 싶은 배열의 순서를 넣어주만 해당 부분의 값을 사용 할 수 있.. 더보기
캠퍼스 시삽 과제 1-1) 캡슐화와 은닉화 캡슐화 - 실제로 구현되는 부분을 외부에 드러나지 않도록 캡슐로 감싸 이용방법만을 알려주는것- 은닉화또한 캡슐화의 한부분이다 캡슐화를 사용하면 블랙박스기능을 구현할수 있다.해당코드를 다른사람이 그것의 작동 방법을 알 필요가 없게 한다는 뜻이다.개발자는 해당 함수에 알맞는 파라미터만 넣으면원하는 결과만 리턴 받으면 되는 것이지 굳이 해당 함수의 알고리즘까지는 알 필요가 없기 떄문이다. 이처럼 실제로 구현되는 부분을 외부에 드러나지 않도록 캡슐로 감싸 이용방법만을 알려주는것이 캡슐화의 중요 컨셉이다.그리고, 이 캡슐화(encapsulration) 과정에서 데이터들과, 여러 로직들이 은닉이 된다. 말그래도 캡슐(encapsulration)로 감싸 숨기(은닉화 , hiding)는 것이다. *은닉화 1.은닉이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