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은 자료들 http://en.wikipedia.org/wiki/Test-and-set http://m.dbguide.net/knowledge.db?cmd=view&boardConfigUid=19&boardUid=152316 http://ko.wikipedia.org/wiki/%EC%9E%84%EA%B3%84_%EA%B5%AC%EC%97%AD http://en.wikipedia.org/wiki/Spinlock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yyg1368&logNo=60133065700&categoryNo=40&viewDate=¤tPage=1&listtype=0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ermet&logNo=11.. 더보기 13.09.30 스터디 준비 이재민 1. 동종 멀티코어시스템에서 쓰레드가 어느 코어에서 실행되는지에 따라 (캐시 계층 구조)때문에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같은 코어에서 실행되는 쓰레드는 그 코어의 private cache(L1) 공유- 같은 칩에서 실행되는 쓰레드는 그 침의 shared cache(L2) 공유 2. 쓰레드간 공유 데이터- 일반적으로 main()함수 밖에 선언 된 (전역변수, 글로벌 변수)는 공유됨- (힙)에 할당 된 객체들도 공유 가능- 하지만 (스택)안의 변수는 공유 불가 (만약 포인트를 이용한 공유를 할 시 문제가 발생) 3. (데이터 레이스)- 둘 또는 그 이상의 쓰레드가 같은 메모리 위치에 접근- 최소한 한 메모리 접근은 쓰기 연산- 그 메모리 접근을 제어하기 위해 쓰레드간 적절한 동기화를 수행하지 않음 4.. 더보기 캐시 지역성의 원칙- 최근 사용된 데이터 또는 명령어가 재사용되거나 근접한 데이터 또는 명령어가 재사용 됨 -> 예측 가능- 시간적 지역성(temporal locality)- 최근에 접근한 데이터는 조만간 다시 접근할 가능성이 높음- 상대적으로 작은 시간 이내에 접근 가능- 공간적 지역성(spatial locality)- 가까운 위치에 있는 데이터는 함께 접근 될 가능성이 높음- 상대적으로 가깝고 작은 시간 이내에 접근 가능 데이터- 공간의 지역성- 배열 요소(A[i])를 연속하여 접근 - 시각적 지역성- 각 이터레이션마다 sum을 접근 코드- 시간적 지역성- 명령어들을 순서대로 접근- 공간적 지역성- 루프를 반복적으로 접근 메모리 계층- 저장소의 계층적 배열- 접근의 지역성을 이용- 빠르게 저장하는 기술- .. 더보기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