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회계&재무
12. 09. 14
Houkibosi
2012. 9. 14. 09:41
회계기록은 어떻게 하는가?
n몇
가지 대안
l(1안)
그날 일어났던 모든 일과 자금의 변동에 대한 것을 자세한 설명과
함께 기록
l(2안)
단순히 현금의 입금과 출금을 기록하는 방식 (단식부기)
* 단식부기 : 단순 현금의 흐름을 기록하는 것
l(3안)
재산의 종류별로 증가와 감소를 기록하는 방법
<표 3-2> 임대보증금과 상품의 변동기록
l(4안) 재산의 증감뿐만 아니라 그 재산이 누구로부터 들어왔는지를 밝혀 기록하는 방식(복식부기)
<재산,
출자자의 몫,
그리고 남에게 갚아야 할 채무를 각각 기록 필요할
n계정(account):
기업의 자산이나 출자자의 몫,
남에게 갚아야 할 채무를 기록하기 위해 설정한 기록의 단위
복식부기에서의
계정기록 방법
l자산계정의 증가(감소)는 계정의 왼쪽(오른쪽)에 기록
l자본이나 부채계정의 증가(감소)는 계정의 오른쪽(왼쪽)에 기록
l이는
자금(자산)의 증가는 남으로부터 빌린 돈인 부채와 출자자로부터의 자본으로
조달된다는 사실을 표시하기 위한 약속
* 재무상태표의 재산은 왼쪽, 부채와 자본은 오른쪽이다.
l장부의
왼쪽과 오른쪽에 똑같은 금액의 계정 변동을 기록함으로써 회계거래가 발생한 후에도 회계등식이 항상 성립될 수 있도록 함
복식부기에서의
계정기록 방법:
S마트의 예
* 자산은 현금!
* 왼쪽 - 차변, 오른쪽 대변
* 임차 : 부동산을 빌리는 일
* 임대 : 부동산을 빌려주는 일
* 복식의 의미가 두 개의 계정만이 변동한다는 것은 아님
- 왼편 계정에 상응하는 오른편 계정이 항상 있다는 의미
- 하나의 회계거래는 최소한 두 개의 계정에 변동을 가져옴
- 따라서 왼쪽과 오른쪽 모두 2개 이상의 계정이 기록될 수 있음
회계순환과정
(accounting cycle)
n회계순환과정(accounting
cycle):
l회계거래가
발생하면 이를 회계장부에 기록하고, 분류
및 요약하여 최종적으로 회계보고서인 재무제표(financial
statements)를 작성하기까지의 일련의 절차를 매 회계기간마다 반복하는 것
* 분개장 : 장부 (필드에선 전표를 사용)
제 1 단계: 분개 (journal entry)
n회계순환과정의 첫 단계인 분개는 회계거래가 발생했을 때 발생 순서대로 회계거래를 기록하는 것
n즉 분개란 회계거래가 발생했을 때 어느 계정의 어느 편에 기록할
것인지를 먼저 판단하고 기록하는 절차
l차변(debit):
계정의
왼쪽
l대변(credit):
계정의
오른쪽
l분개장(journal):
거래에
대한 분개가 발생순서대로 기록되는 장부
l전표(journal
voucher) 예) 입금의뢰서(입금전표), 출금의뢰서(출금전표)
*자산의 증가는 차변, 부채와 부동산의 증가는 대변,
마이너스는 반대편에
* 손익 : 수익(매출액) - 비용 = 이익
* 수익은 자본증가라서 대변
비용은 자본 감소라서 차변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의
분개
n재무제표의
5가지
요소(elements
of financial statements)
l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
l배당금을 제외한 모든 계정은 다섯 가지 요소에 포함
l회계거래의 분개는 다섯 가지 요소의 증감에 따라 차변, 대변에 기록하는 복식 부기
n분개란
자산과 비용의 증가(감소)는
차변(대변)에
기록하고 부채,
자본, 수익의 증가(감소)는
대변(차변)에
기록하는 것
제 1 단계: 분개 (journal entry) 예시
* 비용은 차변
제 2 단계: 원장 (ledger) 기록
n전기(posting):
분개한 회계거래를 해당 계정의 차변이나
대변에 옮겨 적는 작업
n
원장(ledger):
각 계정을 모두 모아 놓는 장부
n일반적으로
자산계정과 비용계정은 차변에
잔액이 표시되며 따라서 자산과 비용계정은 일반적으로
차변
잔액(normal debit balance)을
갖는다고 말함.
n반면
부채계정, 자본계정,
수익계정은 일반적으로
대변 잔액(normal credit balance)을
가짐제 3 단계: 시산표 (trial balance) 작성
n계정의
잔액을 한 곳에 모아 요약한 표
n시산표를
재무제표보다 먼저 작성하는 이유
l시산표상의
차변합계와
대변합계가 일치하는지를 확인
l재무제표의
용이한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