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JavaScript

이클립스 서블릿 연동하기

Houkibosi 2012. 9. 10. 12:13

*학교에서는 메모장으로 작성해서 커멘드창에서 컴파일을 돌리지만

정말 이건 아니라는 생각에 이클립스로 서블릿을 연동하는 방법을

공부해서 정리하는 것이지 이클립스로만 가능한 것은 아니다.



설치법

1. 톰캣이 설치된 폴더의 Conf폴더 안에 있는 아래 세 파일을 변경하여 줘야한다. 원래는 직접 열어서 변경을 해줘야 하나 귀찮아서 변경된 파일을 첨부한다,

context.xml


server.xml


web.xml



2. 설치한 톰캣을 환경변수에 등록하여 준다.

시스템 변수 설정

내컴퓨터 -> 속성 -> 고급 -> 환경변수 클릭

아래와 같은 환경 변수와 값을 시스템 변수쪽에 추가

CATARINA_HOME : 톰캣 설치 경로

JAVA_HOME : JDK  설치경로

Path라는 시스템 변수에 %JAVA_HOME%\bin; 이 값을 맨 앞줄에 추가한다.


3. 새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Other을 선택하여 준다.


4. Web에 Dynamic Web Project를 선택하여 준다.

( 구버젼의 이클립스에서는 Web이 없는 경우도 있다. 

현재 작성중인 버젼은 Juno 버젼이다. )


5. 프로젝트 이름을 만들어주고 New Runtime을 클릭한다.


6. 설치한 톰캣버젼에 맞춰서 목록이 뜬다.

최신버전을 좋아해서 7.0까지 깔았지만 학교수업은 6.0으로 진행되므로

만일에 대비하여 6.0으로 선택했다.


7. 이것 저것 안된다고 하다보니 6.0버젼만 이름이 세개다...

Finish를 눌러주자 ㅇㅅㅇ


8. 한 번더 Finish를 눌러주자.


9. 생성된 프로젝트에 샘플 예제를 넣고 돌려보자.

package blog.houkibosi.com;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PrintWriter;

import java.io.UnsupportedEncodingException;


import javax.servlet.ServletException;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sponse;



public class JapTest extends HttpServlet 

{

private static final long serialVersionUID = 1L;


public JapTest() 

{

        super();

    }


protected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response.setContentType("text/html;charset=euc-kr");

PrintWriter out = response.getWriter();

String str = new String("Houkibosi");

out.println("<html>");

out.println("<head>");

out.println("<title>Test</title>");

out.println("</head>");

out.println("<body>");

out.println(str + " Test");

out.println("</body>");

out.println("</html>");

}


protected void doPos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