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째날
2장 제무제표와 회계기준
숫자는 기업의 언어다.
정보제공
1. 재무 상태
2. 경영성과
3. 현금흐름
4. 자본변동
회계의 목적과 회계정보 제공시의 문제점
- 획케의 목적
- 기업의 이해관계자들이 경제적 의사결정을 할 때 유용하개 사용할 수 있는 회계정보를 사용
- 재무회계와 재무보고의 주대상은 기업의 외부이용자(투자자, 채권자, 공급자, 정부)
- 기업이 획켸정보를 제공 할 때 부딪치는 문제
- 개별 이용자들의 상이한 요구 : 부합하는 모든 정보를 일일이 제공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
- 제공될 정보의 양적측면 - 모든 회계거래를 낱낱이 제공할 수 없음
재무제표와 재무정보
- 여러 이용자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임ㅅ느 기본적이면서도
핵심적인 재무정보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요약하여 보고하는 것을 일본목적의 재무보고라 하며,
이 때 작성된 재무 보고서를 제무제표라 함
- 기본 재무제표에 담기는 정보의 주요내용
- 재무상태 : 특정기업에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재산상태에 대한 정보
- 경영성과 : 일정기간 동안의 기업의 수익, 비용, 순이익에 대한 정보
- 자본변동 : 일정기간 동안의 기업의 자본변동에 대한 정보
- 현금흐름 : 일정기간 동안의 기업의 현금변동애 대한 정보
주석 : 기본재무제표의 항목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나 기업의 중요한 회계정책에 대한 설명
- 4가지 기본재무제표와 함께 기업의 재무자료를 이루는 중요한 요소
- 이용자의 정보수익에 목적접합한 정보를 상세하게. 제공
재무상태 : 특정시점에서의 기업의 재산상태 ( 재산, 부채 및 자본 )
재무상태표 : 특정시점에서의 기업의 재무상태, 즉 기업이 특정시점까지 필요한 자금을
어떻게 조닳했으며, 조달된 자금을 어떻게 운용하여 특정시점의 재산을 보유하고 있는가에 관한
정보를 요약하여 제공해. 주는 재무제표
회계등식 또는 재무상태표 증식 : 기업의 자산 , 부채, 자본사이애 항상 성립하는 공식
자산 = 부채 + 자본
자산 : 기업이 영업활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유하고 있는 경제적 자원
- 현금, 부동산
- 미래에 수익을 창출하는데 공헌 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는 경우에만 자산으로 인정
부채 : 제3자로부터 현금을 빌리거나, 상품, 제품과 같은 재화 또는 용역을 제공받았지만
그 대가를 아직 갚지 않아서 장차 갚아야 할 경제적 의무
자본 : 기업의 소유주가 투자한 자금 및 영업활동을 통한 자금의 증가분으로써
자산에서 부채를 뺀 후에 남는 몫, 순자산, 잔여지분, 소유주지분, 주주지분이라고도 함
유동자산 : 1년 이내에 현금화 할 수 있는 자산
비유동자산 : 1년이내 현금화 할 계획이 없는, 장기투자등의 목적
재무상태표의 일반적인 형삭
- 자산은 크게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부채는 크게 유동주채와 비유동부채로 분류
- 일반적으로 1년 기준으로 현그모화가 되느냐의 차이
- 유동성 배열 : 전통적으로 자산과 부채의 서부적인 항목들은 유동성 정도에 따라 배열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어 왔음
즉 현금화가 빠른 순으로 배열하는 것
재무상태표 정보의 활용 예
- 부채는 얼마이며, 자산은 충분한가
-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의 비율 등
특정 기업의 주식에 투자할지의 여부를 결정할 경우
- 기업의 자기자본 또는 순자산의 가치가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거래 가격보다
높은지으ㅏ 여부를 평가
손익계산서란?
- 특정기간 동안에 이익에 대한 정보
- 올해의 이익이 내년이나 가까운 장래에도 지속될 수 있는가?
- 이익은 기업가치와 연관성이 높은 중요한 회계정보
손익계산서
- 일정기간의 경영성과, 즉 ㄱ업이 일정기간 동안 벌어들인 수익과 지출한 비용에 대한 종보를제공하눈 재무재표
수익, 비용및 이익의 관계
수익 - 비용 = 이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