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JavaScript
JSP와 서블릿에 대하여..
Houkibosi
2012. 8. 30. 14:15
JSP와 서블릿
- JSP는 HTML(XML)안에 Java가 들어가 있는 형태이고
서블릿은 자바안에 HTML(XML)이 들어가 있는 형태이다.
- 최초의 앱 애플리케이션 기술인 CGI에서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웹 서버와 동등한 독립적인 프로그램 형태로 작성했다.
- CGI 프로그램에서는 커다란 문제점이 두 가지가 있다.
- 1. 독립적인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자원이 많이 필요했다.
- 2. 운영체제에 의해 웹 서버와 별개의 프로그램으로 취급되는 CGI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을
웹 서버가 적절하게 제허할 수 있다.
- CGI 프로그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웹 서버의 일부인 모듈 형태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하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처음으로 등장한 접근 방법은 “웹 서버의 서브루틴(subroutine, C에서 말하는 함수) 형태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것이었다.
- 그 후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기법이 도입되어서 웹 어플리케이션을 객체 형태로 구현하는 기술이 등장하였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서블릿”기술이다.
- 서블릿 기술에 대하여
- 서블릿이란 자바를 기반으로 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기술이다.
- 서블릿 기술에서는 자바 클래스 형태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하는데, 이 클래스를 서블릿 클래스라고 한다.
- 서블릿 클래스를 작성할 때 지켜야 할 규칙은 다음과 같다.
- 첫째 : 서블릿 클래스는 javax.servlet 패키지에 속하는 Servlet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 둘째 : doGet 또는 doPost라는 메서드를 선언하고, 그 안에 서블릿 클래스가 호출되었을 때 해야 할 일을 써 넣어야 한다. (이 두 메서드를 작성할 때도 지켜야 할 규칙이 있으며, 그것은 다음 페이지에서 설명할 파라미터와 익셉션에 관한 것이다.)
- 셋째 : 동적 HTML 문서를 생성해서 웹 브라우저로 보내는 일을 하기 위해서는 doGet, doPost 메서드의 두 번째 파라미터를 이용해야 한다.
- JSP에 대하여
- JSP(JavaServer Pages)는 서블릿과 마찬가지로 자바를 기반으로 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기술이다.
- JSP 페이지는 서블릿 클래스와 반대로 HTML 문서 안에 자바 코드가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 JSP 페이지는 서블릿 클래스와 달리 컴파일 과정이나 등록 과정이 필요치 않으며, 텍스트 에디터로 소스 코드를 작성해 웹 서버에 속한 디렉터리에 저장해 놓기만 하면 된다.
- <%와 %> 또는 <%=와 %>로 둘러싸인 태그 뿐만 아니라 ${로 시작해서 }로 끝나는 태그도 있는데, 이 태그는 JSP 2.0 버전에 새로 추가된 익스프레션 언어의 문법이며, 이 언어를 이용하면 JSP 페이지로부터 자바 코드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