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과 같은 수들이 정의되어 있을 때 값이 다른 Z는?
int a = 1, b = 2, c = 3, d = 4, e = 5, f = 6, g = 7;
1. z = d >> a;
2. z = g % e;
3. z = b & b;
4. z = ( c>b ) ? ++b : b; o
2. 문자형은 1바이트, 포인터형은 2바이트라고 가정한 경우, 정수형 변수 a, b의 값은?
struct NODE
{
struct NODE* next;
char name;
char age;
} node[3];
a = sizeof(struct NODE);
b = sizeof(node);
1. a = 3, b = 4
2. a = 3,b = 12
3. a = 4, b = 3
4. a = 4, b = 12 o
3. 다음의 변수 선언 방법 중 바르지 못한 것을 고르시오.
1. char a = '\\';
2. long int b = 0L;
3. unsigned int c = 0;
4. unsigned float d = 0.0F; o
4. 구조체 변수가 다음과 같이 선언되어 있는 경우 보기의 연산 중 나머지와 다른 것은?
struct point
{
int x;
int y;
};
struct rect
{
struct point pt1;
struct point pt2;
};
1. p.pt1.x
2. rp->pt1.x
3. r.(pt1->x) o
4. (rp->pt1).x
5. 다음 프로그램이 실행된 이루 출력되는 값으로 맞는 것은?
int data[10] = {0, 1, 2, 3, 4, 5, 6, 7, 8, 9};
int *pi;
int t, n;
t = 0;
pi = data;
for( n = 0; n < 10; n++)
t = t + *p++;
printf("%d", t);
1. 10
2. 36
3. 45 o
4. 55
6. 다음의 프로그램과 다른 결과를 내는 프로그램은?
for( n = 0; n < 10; n++)
if( n % 2 == 1) printf("홀수\n");
1. n = 0;
while( n < 10 )
{
if( n % 2 == 1 ) printf("홀수\n");
n++;
}
2. n = 0;
for( ; n < 10; )
{
if( n % 2 ) printf("홀수\n");
n++;
}
3. n = 0; o
while( n < 10 )
{
if( n % 2 == 1 ) printf("홀수\n");
else contunue;
n++;
}
4. n = 0;
for( ; n < 10; n++ )
{
if( n % 2 == 1 ) printf("홀수\n");
else continue;
}
7. 다음 프로그램의 수행 결과는?
#include<stdio.h>
int func(int n);
void main()
{
int n = 4;
printf("%d", func(n));
}
int func(int n)
{
if(n == 1) return 1;
return n + func(n-1);
}
1. 10 o
2. 15
3. 20
4. 24
8. 다음 프로그램의 수행 결과는?
#include <stdio.h>
void main()
{
char* s1 = "CPQtest";
char* dest = (char*) malloc(30);
copy(s1, dest);
printf("%s", dest);
}
void copy(char* s, char* d)
{
for( ; (*d = *s) != 0; ++d, ++s)
}
1. CPQ
2. test
3. CPQtest o
4. tsetQPC
9. 다음 함수에 대하여 func(5)로 호출하는 경우 함수의 반환값은?
int func( int n )
{
int i = 1;
int tot = 1;
do{
tot *= i;
i++;
}while( i <= n )
return tot;
}
1. 15
2. 24
3. 120 o
4. 620
10. 다음 프로그램의 수행 결과는?
void func(int[][3]);
main()
{
int a[3][3] = {{1, 2, 3}, {4, 5, 6}, {7, 8, 9}};
func(a);
printf("%d", a[2][1]);
}
void func(int b[][3])
{
++b;
b[1][1]++;
}
1. 7
2. 8
3. 9 o
4. 10
'Study > 서울대 천둥을 이용한 병렬처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13.09.30 스터디 준비 (0) | 2013.09.30 |
|---|---|
| 끄적끄적 (0) | 2013.09.26 |
| 팀장님 과제 (0) | 2013.09.24 |
| 팀장님 과제2 (0) | 2013.09.24 |
| 09.24 숙제 (0) | 2013.09.24 |